COORANK

육아휴직 급여 2025년부터 달라지는 육아휴직 제도 자세히 알아보기

25년-육아휴직-제도-썸네일

2025년부터 육아휴직 제도가 대폭 개선됩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남녀고용평등법 및 고용보험법 시행령 등 일부개정령안에 따르면, 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대체인력 지원금 확대 등 다양한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저출생 문제 해결과 일·가정 양립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입니다.

육아휴직 급여, 대폭 인상되다

월 최대 250만원으로 상향 조정

2025년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현재 월 150만원에서 월 최대 250만원으로 크게 인상됩니다.

이는 육아휴직을 망설이는 주된 원인인 소득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남성들의 육아휴직 참여를 독려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후지급방식 폐지로 실질적 혜택 증가

현재는 육아휴직 급여의 25%를 복귀 6개월 후에 지급하고 있지만, 2025년부터는 이러한 사후지급 방식이 폐지됩니다.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을 지급함으로써 근로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더욱 경감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12개월 사용 시 총 급여액 510만원 증가

이러한 변화로 인해 12개월간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전체 급여액이 현재의 1800만원에서 2310만원으로 510만원이나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육아휴직을 고민하는 근로자들에게 큰 혜택이 될 것입니다.

‘6+6 부모육아휴직제’와 한부모 근로자 지원 강화

부모 모두의 육아참여 독려

‘6+6 부모육아휴직제’도 개선됩니다. 자녀 생후 18개월 내에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6개월 동안의 육아휴직급여 상한액이 현재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됩니다. 이는 부모 모두의 육아 참여를 장려하는 정책입니다.

한부모 근로자에 대한 특별 지원

한부모 근로자에 대해서는 더욱 강화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첫 3개월 육아휴직급여가 현재 250만원에서 월 3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이는 한부모 가정의 경제적 안정을 돕고 자녀 양육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입니다.

육아휴직 신청 절차의 간소화

통합신청 제도 도입

근로자들의 편의를 위해 육아휴직 신청 절차도 간소화됩니다. 2025년부터는 출산휴가 또는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시 육아휴직을 함께 신청할 수 있는 통합신청 제도가 도입됩니다. 이로 인해 근로자들의 신청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면 허용 제도 도입으로 실효성 강화

또한, 사업주의 육아휴직 허용 의사표시에 대한 규정도 강화됩니다. 근로자의 신청 후 14일 이내에 사업주가 서면으로 허용 의사를 표시하도록 하며, 의사표시가 없을 경우 근로자가 신청한 대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법의 실효성을 높이고 근로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대체인력 지원금 인상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의 지원도 확대됩니다. 대체인력 지원금이 현재 월 80만원에서 월 120만원으로 인상되며, 이는 출산휴가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뿐만 아니라 육아휴직에도 적용됩니다.

업무분담 지원금 확대

월 최대 20만원의 업무분담 지원금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뿐만 아니라 육아휴직에도 확대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이 동료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제도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무리

2025년부터 시행되는 이러한 변화들은 우리 사회의 일·가정 양립 문화를 크게 개선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육아휴직 급여 인상, 신청 절차 간소화, 중소기업 지원 확대 등의 조치는 근로자들이 보다 쉽게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것입니다.

특히 남성의 육아 참여를 독려하고, 한부모 가정에 대한 특별 지원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가족 형태를 고려한 정책은 매우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 개선이 실제 현장에서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사회 전반적으로 일·가정 양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어야 할 것입니다.

2025년, 새롭게 달라지는 육아휴직 제도가 우리 사회의 저출생 문제 해결과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에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Exit mobile version